📝 비농업고용지수
농축산업을 제외한 전월 고용인구수 변화를 측정합니다 이걸로 경제 활동하고있는 사람들에 대해서 알 수 있습니다
https://kr.investing.com/economic-calendar/nonfarm-payrolls-227
미국 비농업고용지수
비농업고용지수 같은 주요 경제 이벤트 및 글로벌 마켓에 미치는 그 영향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세요.
kr.investing.com
📝실업수당청구건수
실업 보험에 가입한 개인의 수를 측정합니다 청구건수가 증가하면 경기가 나쁘다는 걸로 볼 수 있습니다
https://kr.investing.com/economic-calendar/initial-jobless-claims-294
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
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같은 주요 경제 이벤트 및 글로벌 마켓에 미치는 그 영향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세요.
kr.investing.com
📝실업률
실업률은 지난달 실업상태에 있으며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는 총노동력의 비율을 측정합니다
https://kr.investing.com/economic-calendar/unemployment-rate-300
미국 실업률
실업률 같은 주요 경제 이벤트 및 글로벌 마켓에 미치는 그 영향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세요.
kr.investing.com
📝 U1 ~ U6 실업률
- U1
- 15주 이상 실직 상태인 사람들의 비율
- 장기 실업의 정도를 측정
- U2
- 일시적 실직자와 직장을 잃은 사람들의 비율
- 최근에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의 비율
- U3
- 공식 실업률. 일할 의사가 있고, 지난 4주 동안 적극적으로 구직 활동을 한 사람들의 비율
- 가장 일반적으로 인용되는 실업률 지표로, 공식적인 실업률 통계
- U4
- 공식 실업률(U3)에 낙담 실업자(구직을 포기한 사람들)를 포함한 비율
- 구직 활동을 포기한 사람들까지 포함하여 실업의 범위를 넓혀 평가
- U5
- U4 실업률에 더해 최근에 구직을 중단한 사람들과 부분적으로 실업 상태인 사람
- 구직을 포기한 사람들과 더불어 현재 일시적으로 실업 상태인 사람들까지 포함
- U6
- U5 실업률에 더해 파트타임으로 일하고 있지만 풀타임을 원하거나 필요로 하는 사람들(불완전 고용자)을 포함한 비율
- 가장 포괄적인 실업률 지표로, 모든 형태의 실업 및 불완전 고용을 포함
- U1: 장기 실업률 (15주 이상 실직자).
- U2: 일시적 실업률 (직장을 잃거나 일시적 실직자).
- U3: 공식 실업률 (일할 의사가 있고 최근 4주간 구직 활동) [가장 심각하게 보는 연준]
- U4: U3 + 낙담 실업자.
- U5: U4 + 최근 구직을 포기한 사람들 및 일시적 실업 상태인 사람들.
- U6: U5 + 불완전 고용자 (파트타임이지만 풀타임을 원하는 사람들).
📝장단기금리역전
장단기금리가 정상일 때 = 경기가 좋을 때
- 경기가 좋으면 사람들은돈을 잘 빌린다
- 돈을 오래 빌려줄수록 이자를 많이 받아야한다
장단기금리가 역전일 때 = 경기가 안 좋을 때
- 경기가 안 좋으니 돈을 사람들이 잘 안빌린다
- 돈을 오래 빌려주는데 이자가 낮아진다
장단기금리역전일 때 경기침체가 일어난 경우가 많았다
10년-2년과 10년-3개월 비교시 마이너스 지수로 장단기금리가 역전되어있다는 걸 알 수 있다
http://yellow.kr/financeT10Y2Y.jsp#google_vignette
미국 장단기 금리차 - 옐로우의 세계
미국 장단기 금리차 조회, 10-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Minus 2-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
yellow.kr
https://ko.tradingeconomics.com/united-states/3-month-bill-yield
📝EPS
EPS(1주당 순이익)는 회사가 주식 1주로 얼마의 순이익을 내고 있는지를 알려줍니다
📝 M1
현금 + 요구불예금 (즉시 사용 가능한 돈)으로 유동성이 매우 높음
📝 M2
M1 + 정기예금 등 단기 금융상품으로 유동성은 M1보단 낮지만 여전히 상대적으로 높음
📝 M3
M2 + 금융기관의 대형 예금, 기관투자자의 자금 등 현재 한국은 M3를 공표하지 않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사용됨
📝 M1, M2, M3 통화량 증가
통화량이 증가할 수록 시중에 돈이 많아 투자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📝 회사채
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으로 신용도가 낮을수록 이자를 더 줘야 함
📝 MMF
단기 채권 등에 투자하여 이자 수익을 내는 펀드로 안전성이 높고 유동성이 좋음
🔗 참고 및 출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