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 

package switch_case;

public class SwitchCase {
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
		int num = (int)(Math.random()*7) + 1; // +1이 없으면 0부터 시작함
		
		switch (num) {
			case 1:
				System.out.println("1이 출력 됐습니다");
				break;
			case 2:
				System.out.println("2가 출력 됐습니다");
				break;
			case 3:
				System.out.println("3이 출력 됐습니다");
				break;
			case 4:
				System.out.println("4가 출력 됐습니다");
				break;
			case 5:
				System.out.println("5가 출력 됐습니다");
				break;
			case 6:
				System.out.println("6이 출력 됐습니다");
				break;
			default :
				System.out.println("잘못 출력 됐습니다");
				break;

	}


	}
}

switch case문이란 if문하고 유사합니다. switch 안에 어떤 값이 들어가냐에 따라

어떤 프로세싱을 할지가 정해지기 때문에 유사합니다 하지만 어떤 상황에는 이게 더 보기 편합니다.

그리고 이게 더 효율적일 때도 있습니다.

 

예를 들자면 게임 메뉴 같은 경우 1번 눌렀을 때 게임 시작

이런식으로 하면 되게 편하고 보기도 좋고 합니다.

if문을 쓰면 if else if else if .... 이런식으로 많이쓰고 가독성도 좋지 않아지게 됩니다.

 

코드를 설명하자면 (int)(Math.random() * 7) + 1 을 설명하자면 (int)(Math.random())은 하나라고 기억해두시고

*7이라는 건 7개의 경우의 수를 의미하고 + 1을 해준 이유는 + 1을 안 해주면 0 ~ 6까지 수가 나옵니다.

 

1 ~ 7까지 수를 원하면 +1을 해주면 됩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