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📝클래스 종류

 

📝A 클래스

첫번 째 자리 네트워크ID 이고 나머지가 호스트ID가 됩니다. (같은 네트워크ID면 동일한 네트워크입니다.)

예) 117.80.55.2 (네트워크ID : 117 , 호스트ID : 80.55.2)

A클래스 네트워크ID는 0~127로 128개 이고 호스트ID는 255^3 입니다. (통신회사에서 주로 사용합니다.)

네트워크 ID는 위에 사진 처럼 정해져있습니다

 

📝B 클래스

첫번째, 두 번째 자리 네트워크ID 이고 나머지가 호스트ID가 됩니다.

예) 117.80.55.2 (네트워크ID : 117.80 , 호스트ID : 55.2)

 

📝C 클래스

첫 번째, 두 번째 , 세 번째 자리 네트워크 ID 이고 나머지가 호스트 ID가 됩니다.

예) 117.80.55.2 (네트워크ID : 117.80.55 , 호스트ID : 2)

 

📝서브네팅

네트워크 성능 보장,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해 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을 쪼개는 작업

동일한 네트워크 ID를 가지면 같은 로컬 네트워크에 있다고 판단한다.

 

📝서브넷마스크 (표기법)

서브네팅을 하기 위한 서브넷마스크 작성 방식입니다. 개인적으로 CIDR 표기법을 먼저 알고 그걸 SubnetMask 방식으로 필요할 때 변환시키는 게 이해하기 쉬운 것 같다.

 

IP는 총 32비트로 구성되어있고 영역 하나씩 8비트를 차지한다. CIDR /26인 경우는 3개의 영역의 비트(24)와 2비트가 남는데 2^2 = 4개의 서브넷으로 이루어지고 256을 4로 나누면 64의 영역0 ~ 63, 64 ~ 127, 128 ~ 191, 192 ~ 256이 해당된다. 즉 4개의 네트워크 영역으로 나뉘게 된다.

 

 

📝CIDR 표기법

IP주소와 서브넷마스크를 한번에 표현한다.

  • 192.168.10.1/24
    • IP 주소는 192.168.10.1이고 서브넷마스크 → 255.255.255.0이라는 표시

 

 

https://m.blog.naver.com/seoulcheer/222253792170

반응형